[Dispatch=김지호기자] MBC-TV '남극의 셰프' 측이 방송 전 민폐 논란을 일축했다. 남극 방문 시 식자재를 가져가지 않은 건, 세종과학기지 측과 이미 협의된 사항이었다는 것.
'남극의 셰프' 측은 11일 '디스패치'와의 통화에서 "촬영을 가기 전, 기지 측과 촬영팀 식자재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며 "(기지 측에서) 식자재를 별도로 가져오지 않아도 된다고 전달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남극의 셰프' 팀은 한국에서 식재료를 공수해 가지 않기로 결정했다. 각 기지 창고에 남은 식재료만으로 요리하기로 논의를 마쳤다. 남극 기지의 현실을 리얼하게 보여주겠다는 취지였다.
남극 기지에서는 매년 12월 대원들을 교체한다. 식자재 역시 1년에 1회 보급한다. '남극의 셰프' 촬영팀이 방문한 시기는 지난해 11월. (일부) 식자재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남극의 셰프' 측은 "채소 등 신선 식품이 부족했다는 표현이 오해를 낳은 것 같다"며 "쌀, 고기, 라면 등 부식들은 기지에 충분했다. 1회 방송에 해당 부분이 나온다. 방송으로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덧붙였다.
'남극의 셰프'는 원래 지난 4월 방송 예정이었다. 그러나 더본코리아의 제품 품질 문제, 원산지 표기 오류, 축제 위생 문제 등 논란이 줄지었다. 백종원에 관한 부정적 여론이 커지며, 프로그램은 한 차례 연기해야 했다.
첫 방송일은 오는 17일로 최종 결정됐다. 황순규PD는 최근 "11월 16일은 '남극의 셰프' 팀이 출발했던 날"이라며 "오는 12월 1일은 남극조약이 체결된 상징적인 날이다"고 의미를 짚었다.
황PD는 "남극의 셰프는 특정 출연자 한 사람을 위한 요리쇼가 아니다"며 "인간, 자연, 공존의 의미를 탐구하는 기후 환경 프로젝트다. 그 본질적 가치를 시청자 분들께 제대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겠다고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백종원 리스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와 참여연대 등이 이날 오후 마포구 상암동 MBC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연다. '남극의 셰프' 첫 방송 보류 혹은 백종원 분량 삭제를 요구할 계획이다.

<사진출처=STUDIO X U+, 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