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ebook Pixed code*/ /* /facebook Pixed code*/
"말맛, 병맛, 섹다른 맛"…'윗집사람들', 하정우의 뚝심 (간담회)

[Dispatch=김지호기자] 하정우 감독 하면 떠오르는 단어, (일명) 병맛과 말맛이다. 이번에는 색다른 맛이 아닌, 섹다른(?) 맛을 추가했다. 어디로 튈 지 모르는 럭비공 같은 섹스 코미디 영화를 완성했다.

영화 '윗집 사람들'(감독 하정우) 기자 간담회가 2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돌비시네마에서 열렸다. 하정우, 공효진, 김동욱, 이하늬가 참여했다. 故 이순재를 추모하는 시간을 먼저 가진 뒤, 본격적인 질의응답을 시작했다.

'윗집 사람들'은 스페인 원작 영화 '센티멘탈'을 하정우 특유의 스타일로 각색한 영화다. 윗집 부부가 권태기를 겪는 아랫집 부부의 초대에 응해 저녁 식사 자리를 갖는다는 설정이다.

하나의 세트장에서 벌어지는, 네 사람의 기상천외한 밀당과 심리전이 관전 포인트. "여기서 이 말이 나온다고?" 하며 웃음을 터뜨릴 수 있다.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의 파격적인 에로틱 토크가 (천연덕스럽게) 이어진다.

하정우 감독(김 선생 역)은 원작 영화를 처음 접한 소감에 대해 "문화, 지역, 환경이 달라도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라 생각했다"며 "(19금 대화를) 어려워하고, 부끄러워하고, 때론 대담하게 하는 영화"라고 밝혔다.

정아(공효진 분)-현수(김동욱 분) 부부의 집에서 대부분의 신이 이뤄지는 점이 특징이다. 이하늬는 "저희가 햇빛을 못 보고 살았다"고 웃으며 "배우들을 도울 수 있는 게 없었다. 대단한 CG가 있지도 않고, 편집을 현란케 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하늬는 "오롯이 네 배우가 가진 에너지와 행동, 대사와 결, 아주 디테일한 앙상블 등에 의지했다. 그 하모니가 너무 중요한 작업이었다"며 "영화적이면서도 연극적이고, 연극적이면서 영화적인 작품"이라 짚었다.

대사가 중요한 영화인 만큼, 리딩도 역대급이었다. 하 감독은 "전작들도 리딩을 많이 했지만, 그걸 뛰어넘고 싶었다"며 "출연진 뿐 아니라 리딩 배우들을 따로 뽑았다. 일주일에 5일 정도, 촬영 전까지 리딩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다른 배우들, 코미디언 분들 등도 초청해 리딩했다"며 "그런 것들을 토대로, 비슷한 영화도 많이 참고했다. 대사 한 마디, 추임새 하나, 모두 채우고 싶은 마음이었다. 대사 콜렉팅도 정말 많이 했다"고 덧붙였다.

윗집 부부(김선생-수경)는 비현실적이며, 판타지성이 강하다. 개방적이다 못해 할리우드 급 과감함을 자랑한다. 아이러니하게도 김 선생은 교사, 수경은 정신과 전문의다.

아랫집 부부(정아-현수)는 정반대 지점에 서 있다. 예술가 부부로서 약 4년 가까이 섹스리스로 지낸다. 윗집 부부의 어마무시한 층간 소음에 시달린다. 현실 부부와 가깝다.

공효진은 "윗집 부부와 아랫집 부부의 농도가 너무 다르다"며 "저와 동욱 씨는, 정말 어딘가에 살고 있을 법한 찐 부부 케미를 만들어보고자 했다. 아무리 윗집 부부가 황당한 소릴 해도, 그 자리를 잘 대접해 넘기려고 한다"고 전했다.

아랫집 부부는 윗집 부부 때문에 싸우고, 울고, 묵은 갈등까지 해결한다. 이하늬는 "수경 커플은 어떻게 보면 천사 아닐까 하는 상상을 했다. 홀연히 내려왔다가 사라지는 존재라는 생각까지 하며 작업했다"고 설명했다.

이하늬는 "수경과 김선생이 센 워딩으로 파격 제안을 한다. 그러나 저는 그건 영화적인 장치라 생각했다"며 "수경과 김선생 부부는 아랫집 부부의 관계를 완전히 뒤흔들 수 있는, 그런 존재들"이라고 짚었다.

이 영화의 엔딩은 정아-현수 부부의 아주 단순한 터치다. 그럼에도, 이전의 웃음과 절묘하게 연결된다. 정아와 현수의 미묘한 심리 변화에서 은은한 감동을 느낄 수 있다. 배우들 역시 해당 신을 가장 아끼는 장면이자 인상 깊은 신으로 뽑았다.

김동욱은 "몇 년을 산 부부지만, 가벼운 포옹조차 어색해진 상황이다. 타인에 의해 서로를 다시 안아보는 신"이라며 "정아가 눈물을 흘리는데, 저도 눈물이 너무 나는 걸 참고 연기했다. 그게 바로 윗집 부부가 내려온 이유 같기도 했다"고 했다.

공효진도 "그때 눈물이 너무 많이 났다. 찍는 내내 울었다. (이)하늬도 지켜보며 울더라. 예상치 못한 찡함이 있었다. 대본으로 읽는 것보다 훨씬 진한 감동이었다. 관객 분들도 어떻게 느끼실 지 너무 궁금하다"고 회상했다.

이하늬 역시 해당 장면을 성(聖)스럽고, 성(性)스러운 신으로 해석했다. "작은 터치가 일어났을 때, 현수-정아의 날선 벽이 언제 그랬냐는 듯 허물어진다"며 "권태기에 접한 분들께 감동이 있을 것 같다"고 자신했다.

마지막으로, 네 배우들이 영화 시청을 독려했다. 김동욱은 "하정우 감독님이 장기인 말맛을 잘 살릴 수 있는 대본을 잘 각색하셨다. 글쓴 분의 의도대로 표현하려고 애썼다"고 소감을 남겼다.

공효진은 "혼자 보는 것보다, 같이 보는 것이 재밌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불편하지 않으면서도 화끈한 영화다"며 "사람들과 북적북적 함께 웃으며 보는 연말연시 되시길 기대해본다"고 마무리했다.

이하늬는 "윗집사람들은 어떤 영화냐고 물었을 때, 발칙한 소재라고 답할 수 있다. 그런데, 그건 거죽이다"며 "그 안에는 보편 타당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들이 있다"고 영화의 의미를 말했다.

이어 이하늬는 "사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깨어진 관계, 층간 소음, 부부 등 모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가 나온다. 많은 관람 부탁드린다"고 영화를 추천했다.

한편, '윗집 사람들'은 다음달 3일 개봉한다.

<사진=송효진기자>

HOT PHOTOS
NEWS
more news
PHOTOS
[현장포토]
"첫사랑, 이런 느낌"…카르멘, 청순 교과서
2025.11.25
[현장포토]
"비주얼이 조명"…지우, 자체발광 출국
2025.11.25
[현장포토]
"한밤을 밝힌다"…이안, 눈부신 미모
2025.11.25
[현장포토]
"영원한 배우"...故 이순재, 전설의 마지막
2025.11.25
[현장포토]
"미소에 치인다"...카리나, 러블리 스마일
2025.11.25
[현장포토]
"美의 대명사"...이하늬, 백만불짜리 미소
2025.11.25
more photos
VIDEOS
02:26
카리나·지젤(에스파), "김포국제공항 출국" l æspa, "GMP INT Airport Departure" [공항]
2025.11.25 오후 04:40
03:18
미야오, "마마 2025 홍콩 출국" l MEOVV, "Departing for MAMA 2025 in HongKong" [공항]
2025.11.25 오후 01:46
03:22
베이비몬스터, "마마 2025 홍콩 출국" l BABYMONSTER, "Departing for MAMA 2025 in HongKong" [공항]
2025.11.25 오후 01:37
more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