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ebook Pixed code*/ /* /facebook Pixed code*/
[ⓓ인터뷰] "누군 당기고, 누군 멈췄다"…권일용 교수, '트리거'의 순간

[Dispatch=김지호기자] ※ 이 기사에는 넷플릭스 시리즈 '트리거'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박규진(박윤호 분)과 서영동(손보승 분)은 극단적인 학교폭력의 피해자다. 폭행과 폭언은 기본, '나쁜 짓'을 하도록 강요당한다. 몰카 찍기, 교사에게 폭언하기, 어머니 신분증 훔쳐오기….

두 학폭 피해자가 동시에 출처불명 불법총기를 배달받았다. 한 소년(영동)은, 총기를 사용해 사적 복수를 벌인다. 학교 문을 모두 잠그고 무차별 난사를 해 복수를 한다.

반면 한 소년(규진)은 끝내 트리거를 당기지 못한다. 가해자에게 총을 겨눴지만, 이도 순경(김남길 분)의 설득에 마음을 돌린다. 결국 떨리는 손으로 총을 내려놓는다.

"여기, 똑같은 좌절과 고통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겨내고 극복하지만, 또 어떤 사람들은 끝내 (범행을) 저지르죠. 그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요?" (권일용 교수)

'디스패치'가 대한민국 1호 프로파일러 권일용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원 겸임교수와 전화 인터뷰를 진행했다. 권 교수는 한국 과학수사기법의 기틀을 마련한 전문가다.

논픽션 에세이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을 집필했다. '악마음'은 지난 2018년 드라마로 제작돼 시청자를 만났다. 김남길이 연기한 '송하영'이 권 교수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다.

다음은 권일용 교수가 보는, '트리거'에 담긴 의미다.

◆ 트리거를 당길 때까지

사회심리학에서 말하는 '공격'은, 남을 해치려는 의도로 물리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위험성을 가진 공격성은, 수많은 좌절이 연속됐을 때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위험성을 가지고, 감정을 폭발시켜 공격하는 사람들. 바로, 넷플릭스 시리즈 '트리거'에서 문백(김영광 분)이 발송한 총을 받은 불특정 다수의 이야기다. 그렇다면, 누가 트리거를 당길까?

권 교수는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없고, 요청했을 때도 도움받지 못하고, 주변에 이야기할 수 없는 사람들. 즉 고립된 사람들이 반복적인 좌절을 겪을 때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목표의 유무 역시 트리거의 요인이다. "만일, '극복하고 원하는 삶을 살겠다'는 강한 의지와 목표가 있다면 이겨낼 에너지가 된다. 미래에 대한 구체적 목표와 사회적 유대는 보호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 누군 당기고, 누군 멈췄다

물론 좌절과 피해를 겪었다고, 반드시 범죄자가 되는 건 아니다. 영동은 방아쇠를 당겼고, 규진은 분노를 참아냈다. 고립은 그 차이를 만드는 가장 큰 요소다.

"좌절과 분노를 겪었을 때 (공격을) 하는 사람과 하지 않는 사람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유사한 범죄에 대처하고 예방할 수 있죠. 결국 중요한 포인트는 고립이 됐느냐 아니냐예요."

권 교수는 "규진은 힘들게 일하는 어머니, 즉 사랑하는 가족이 주변에 있다. 관계가 단절되지 않았다. 학폭 피해자로서 도움을 받지 못해도 고립감을 이겨낼 수 있었던 이유"라고 분석했다.

"반대로, 극중 영동에겐 친구 혹은 가족 등 가까운 관계의 사람들이 묘사되지 않아요. 고립을 막을 만한 관계성이 없었다는 거죠. 결국 학교 안의 사람들을 향해 총기를 무차별 난사하게 됩니다."

◆ "너희들도 공범이야"

여기서, '트리거'의 서사가 가진 디테일 하나. 영동은 다른 학생들은 다 공격했지만, 같은 학폭 피해자인 규진은 동료로 인식했다. 말을 걸고, 총을 건넸다.

"영동에게 있어 규진은 유일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준 학생이에요. 친구로서 고통을 공감해주는 관계가 형성이 돼 있는 거죠. 그래서 규진은 공격 대상이 아니었던 겁니다."

시청자 입장에서, 영동은 무고한 사람들도 살해했다. 자신을 괴롭히지 않은 학생들에게도 총을 발사한 것. 영동의 이런 심리도, 범죄심리학적으로는 납득할 만한 설정이다.

"영동의 판단으로는 설사 자신에게 직접 가해를 가하지 않은 학생들이더라도 애꿎은 피해자가 아닌 거에요. '너희들도 공범이야, 내가 고통받았을 때 침묵했잖아!'라는 심리죠."

◆ 트리거를 멈출 수 있을까

조현식(김원해 분)은 총을 잡은 어린 이도에게 "네 마음을 안다", "죗값을 받게 해주겠다"고 설득한다. 이도 역시 규진을 향해 안타까운 눈빛을 보내고, "네 이야길 듣고 싶다"고 말한다.

"이도가 '이 애한테 가장 필요한 건 들어주는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그런 대사가 나온 겁니다. 그간 아무도 규진의 이야기를 들어주지 않았거든요. 그러다 들어주겠단 사람이 나타나니 흔들리기 시작한 거죠."

사실, 이도가 설득의 속도를 늦추면, (의도치 않게) 복수를 도와줄 수 있었다. 그러나 '트리거'는 다크 히어로를 거부했다. 이도를 통해 선량한 히어로의 정석을 보여준다. 이 역시 이유 있는 선택이다.

"저라도 현장에 있었다면, 똑같은 방식으로 멈추게 했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복수를 했다고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그건 일시적인 도파민일 뿐이에요. 결국 죄책감, 후회, 자신에 대한 분노 등이 복합적으로 자신을 억누를 겁니다."

이도의 서사는 이유 있다

이도는 어린 시절 부모님이 살해당하는 아픔을 겪었다. 문백과 달리, 좋은 어른(조현식)을 만난다. 아이는 자라나 군에서 스나이퍼가 되어 99명을 죽이고, 이름을 날린다.

권일용 교수는 "공격성은 사실 인간이 존재하는 데 필요한 성향 중 하나"라며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도, 어느 정도는 공격성이 필요하다"고 전제했다.

"아이가 어린 시절 고통을 해소하지 못하고 성장해, 그게 공격적 트라우마로 남았을 때를 가정해봅시다. 자신이 생각하는 악의 처단, 정당한 살인의 방법이 바로 스나이퍼였겠죠."

하지만 이도는 스나이퍼가 답이 아니라는 걸 깨닫고, 경찰로 전향한다. "애초 경찰은 누군가를 공격하는 존재가 아니다. 사람을 보호하는 직업이다. 아마, 이도는 그래서 경찰을 골랐을 것"이라 짚었다.

문백은, 전형적인 사이코패스

문백(김영광 분)은 강렬한 빌런이다. 어린 시절 인신매매로 안구를 적출 당하고, 갖은 고통을 겪은 인물. 미국 총기 판매상의 일원으로 합류, 한국에 복수를 하러 돌아온다. 불법 총기를 퍼뜨려 한국을 혼란으로 이끈다.

겉보기엔 유쾌하고, 친근하다. (김영광 덕분에) 중저음의 보이스, 모델 같은 비주얼도 보여준다. 권 교수는 "문백은 전형적인 사이코패스 성향이 높은 범죄자의 특성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보통 사이코패스라고 하면, 위협적이고 폭력적이거나 마구 사람을 통제하는 강압적인 모습을 연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현장에서 수천 명의 사이코패스를 만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아요."

그는 "사이코패스들은 사람을 순식간에 조종하는 특성이 있다"며 "문백은 사람들의 약점을 자신의 복수에 이용한다. 목적을 위한 도구로 사람들을 활용한다"고 말했다.

◆ 사적 복수는 왜 위험한가

흔히, 사적 복수를 정당화하는 사람들은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는 말을 빌린다. 그러나 '트리거'는 오프닝에 반사회적 위험 인물을 배치했다. 성범죄자 전원성(이석 분)을 통해 사적 복수의 위험성을 알린다.

"첫 회, 성범죄자가 전자발찌를 끊고 경찰관들을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지 않습니까? 가해자가 자기 주관대로 사적 복수를 하는 걸 보여주는 거죠. 그게 아주 위험하다는 메시지입니다."

권 교수는 "사적 복수는, 실행자의 주관적인 감정에서 시작된다. 심지어 범죄자마저 자신이 피해 입었다고 왜곡해서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위험하다"고 부연했다.

'트리거'가 전원성의 악행을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원성은 전자발찌를 찬 상태에도 나무 꼬챙이로 경찰의 목을 찌르려 한다. 집에 방문한 정수기 코디네이터를 은근히 희롱하며 압박한다.

◆ "우리 사회도, 안전하지 않다"

총기를 구입하지 못한다 해도 대체재는 많다. 칼, 쇠망치, 도끼…. 문제의 본질을 총 그 자체에 한정해선 안 된다는 이야기다.

권 교수는 "총기 난사는 총기가 있을 때 행해지는 범죄 유형 중의 하나"라며 "총기 그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다. 감정을 폭발적으로 표현하고 공격하는 사람들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게 바로, '트리거'가 들려주는 메시지라는 것. "고립되고 좌절을 겪는 사람들의 분노와 위험성에 대해, 사회 공동체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종합적으로 고민하게 되는 드라마"라고 평가했다.

"분노가 점점 많이 쌓이고, 갈등이 극으로 치닫고 있어요. 사회가 다극화되고 있죠. 여러 다른 집단이 유대 관계로 이어지지 않고 단절되어 갑니다. 한국 사회가 우려해야 하는 지점입니다."

<사진출처=넷플릭스, 권일용 교수 인스타그램>

HOT PHOTOS
NEWS
more news
PHOTOS
[현장포토]
"일상이 스웨그"...호시, 멋쟁이 힙스터
2025.08.01
[현장포토]
"오늘은 노랑둥이"...우지, 샛노란 반삭
2025.08.01
[현장포토]
"흔한 얼굴 아니야"...리노, 특별한 잘생김
2025.08.01
[현장포토]
"다시, 용복 보유국"...필릭스, 금발의 왕자님
2025.08.01
[현장포토]
"월드투어 도장깨기 완료"...아이엔, 금의환향 입국
2025.08.01
[현장포토]
"거리가 화보다"...닝닝, 공항 런웨이
2025.08.01
more photos
VIDEOS
03:10
호시·우지(세븐틴), "열일모드 호우주의보🚨KCON➡️팬콘✈️" l HOSHI·WOOZI(SVT) "HXW in hard work mode🚨KCON➡️ Fancon ✈️" [공항]
2025.08.01 오후 07:30
00:00
[LIVE] 호시·우지(세븐틴), "인천국제공항 출국" l HOSHI·WOOZI(SVT) "ICN INT Airport Departure" [공항]
2025.08.01 오후 05:09
05:16
스트레이 키즈,"투어 11개월 동안 고생많았어요👍🏻22일 '카르마'👏"l STRAY KIDS, "THX for SKZ's hard work during 11months👍🏻"[공항]
2025.08.01 오후 04:06
more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