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patch=정태윤기자] 드라마 산업 관계자들이 국내 드라마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했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측이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K-드라마 산업 제도 개선 및 정책 제안 간담회'를 열었다. 위기를 타파할 실질적 정책 대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진짜 대한민국 선거대책위원회 후보 직속 K-문화강국위원회 잘사니즘 문화예술위원회,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드라마 제작사 대표들도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공유했다.
이기헌 의원은 "정부 차원의 제도적 개입과 산업 주체 간 상생을 위한 대타협이 필요하다"며 드라마산업 특별법 제정 등 실질적인 입법 추진 의지를 밝혔다.
김준혁 의원은 한국 드라마가 지닌 사회적·문화적 가치를 강조했다. "글로벌 자본 중심의 제작 환경에서 우리 드라마 산업을 지키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제작사와 방송사가 겪고 있는 편성 축소, 수익구조 악화, 출연료 급등, 광고 규제 등 복합적 위기 요소들이 논의되었다. 특히 편성 불확실성과 유통 지연, 자금 회수의 어려움으로 인한 구조적 리스크를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는 위 내용을 중심으로 한 정책 과제를 체계적으로 발표했다. 참석자들은 자유발언을 통해 제도적 개선 방향과 국회와 정부의 역할에 대한 의견도 냈다.
이우종 공동위원장은 "드라마 산업의 양극화와 글로벌 OTT 자본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명확한 정책 신호를 줄 필요가 있다"며 "행정·입법 권한을 활용한 실질적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송병준 협회장 또한 "관행적 자원을 넘어서는 대담한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며 "지금이 바로 K드라마 산업을 위한 구조적 전환점이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진제공=한국드라마제작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