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patch=이명주기자] “런던베이글은 책임을 회피 말라.”
‘런던베이글’이 청년 노동자 과로사 책임 회피 의혹을 받고 있다. 유족의 초과 근무 시간 자료 제공 요청에도 비협조적인 것으로 알려진다.
정의당은 지난 27일 ‘런던베이글뮤지엄은 청년 노동자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회피 말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직원 A씨의 사망에 대한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유족에 따르면, A씨는 런던베이글뮤지엄 인천점 재직 당시 주당 52시간을 초과해 근무했다. 사망 직전엔 주 80시간 일한 걸로 추정됐다.
정의당은 “(A씨는 스케줄표 기준) 사망 전날 아침 9시에 출근해 자정 직전 퇴근했다. 사망 5일 전에는 21시간 일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갑자기 근로시간이 늘어나면 과로 가능성도 높아진다”며 “만성 과로와 급성 과로가 겹쳐 과로사로 이어진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고인의 근로계약서도 문제 삼았다. 정의당은 “고인의 근로계약서가 주 14시간 이상 초과근로를 기준으로 작성됐다”고 강조했다.
현행 근로기준법을 어겼다는 것. “주 52시간 상한제를 위반하고 있다. 실제 근무 시간은 이보다도 훨씬 길다”고 주장했다.

일명 ‘쪼개기 계약’ 역시 의심했다. 정의당은 “14개월간 거쳐온 지점은 4곳”이라면서 “강남, 수원, 인천으로 옮기며 근로계약서만 3번 갱신했다”고 강조했다.
런던베이글을 운영하는 엘비엠은 산재를 신청한 유족에 자료 제공을 거부하고 있다. 고위 임원이 “굉장히 부도덕해 보인다”는 폭언을 하기도 했다.
정의당은 “엘비엠은 더 이상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유족이 요구하는 각종 자료들을 충실히 제공할 것을 촉구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고용노동부의 대대적인 사업장 관리·감독도 주문했다.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고용노동부 차원의 근로감독이 필요하다”고 첨언했다.
마지막으로 “(A씨는) 언젠가 자기 매장을 열겠다는 마음으로 열정적으로 일해온 성실한 26세 청년이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했다.
진보당도 같은 날 이미선 대변인 명의의 브리핑을 발표했다. “고인은 사망 전날 끼니도 거르며 15시간 넘게 일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회사는 장시간 노동과 과로 위험을 방치했고, 근로계약서조차 주 52시간 상한을 위반하도록 설계된 걸로 확인됐다”고 했다.
이 대변인은 또 “런베뮤의 불법과 기만을 강력히 규탄한다.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과 책임자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촉구한다”고 요청했다.
한편 런던베이글뮤지엄 측은 28일 유족 주장과 상반된 입장을 냈다. A씨가 주 80시간이 아닌 44시간 근무했다고 해명했다. 산재 신청을 위한 자료도 제출한 상태라고 전했다.

<사진출처=진보당 손솔 의원실, 런던베이글뮤지엄 SNS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