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ebook Pixed code*/ /* /facebook Pixed code*/
황태자는 경계의 대상…이승기, 데뷔 8년의 등락 (인터뷰)

 

[Dispatch=김수지기자] 올해로 데뷔 8년차. 탄탄대로였고 남부럽지 않았다. 가수 데뷔와 동시에 신인상을 거머줬고, 출연하는 예능마다 대박이 났다. 또 연기도 2번째 작품만에 주인공을 꿰찼다. 연예계 엘리트코스를 밟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 이승기는 국민 남동생에서 황태자가 됐고 본인도 인정하는 영향력을 갖게 됐다. 하지만 하나를 얻으면 다른 하나는 잃는 법. '스타' 이승기의 존재감이 커지는 동안 '인간' 이승기는 움츠려들었다. 쇼윈도 마네킨처럼 남들에게 보여지기 위해 살았던 탓이었다.

 

"되돌아보면 오로지 연예인 이승기로서의 삶밖에 없어요. 사생활? 전혀 없었죠. 스스로를 가둬두고 살아왔던거에요. 남들에게 어떻게 보일까, 그것만 생각했던 것 같아요."

 

이승기는 재능과 운이 좋다는 평가를 거부했다. 자신은 철저하게 노력으로 만들어졌단다. 그 과정에서 좌절도 했고 실망한 적도 적지 않았다고 했다. 그것도 남들에게 보이지 않게 늘 속앓이를 해야했다고. 늘 매끈하게 다져진 평지만 걸었을거라는 예상이 깨지는 순간이었다.

 

 

◆ 황태자 이승기 | 지난 2004년 국민 남동생으로 등장해 머지않아 황태자로 불렸다. 여기에 바른생활 사나이까지, 이승기는 호감형 수식어를 달고 살았다. 이는 운이 아닌 노력으로 얻은 타이틀이었다. 실제로 이승기는 이 타이틀을 위해 상당수를 포기했다. 개인시간은 오롯이 반납할 정도였다. 

 

UP | 국민호감 : "사실 처음부터 얻었던 타이틀은 아니에요. 지금 이 이미지를 얻기까지, 정말 노력했어요. 가수, 연기, 예능을 다 하면서 주위에서 안좋은 시선도 참 많이 받았거든요. 그래서 더 열심히 했죠. 스스로 최선을 다했다고 말할 정도로 치열하게요. 지금의 이미지는 그렇게 해서 얻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지금은 그 덕을 보고 있어요. 날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죠. 특히 예능. '1박 2일'과 '강심장'을 그만두고 예능을 잠시 쉬었잖아요. 그 사이에도 예능 프로그램에서 제안이 들어오더라고요. 요즘 신기한건 영화에서도 제안이 들어온다는거죠. 이렇게 좋은 결과를 얻게 돼서 좋기도 하고 놀랍기도 해요."

 

DOWN | 자만심 : "솔직히 말해 부담은 돼요. 지금 이 이미지를 관리 잘해야겠다, 스스로 옭아맬 때가 있거든요. 실제로 1~2년 전만 해도 사생활 없이 살아왔어요. 친구를 만나는 것도 두려워했으니까. 불안해했던 것 같아요. 내 개인적인 시간을 갖다가 일에 집중하지 못하면 어쩌지 혹 일을 그르치면 어떡하지, 하면서 말이에요."

 

"그 시간이 지나니까 어느순간 나태해지더라고요. 특히 '강심장' 단독 MC를 볼 때 심했어요. 주위에서 '잘한다 잘한다' 하니까 진짜 자만해지는거에요. 내가 진짜 황태자라도 된 것 처럼요.  그러다 연말 시상식에서도 어깨에 힘주고 있는 날 보니 번쩍 하더라고요. 이러면 안되겠다 싶어 그때부터 다시 날 다잡고 있어요. 그러다 '더 킹 투하츠'의 대본을 받았죠."

 

 

◆ 연기자 이승기 | '더 킹'은 초심으로 돌아가 만난 작품이다. 그 선물일까. 이승기는 이 작품을 통해 이승기는 자타공인 주연배우의 반열에 올라섰다. 하지원, 윤제문 등 쟁쟁한 배우와도 어깨를 견줬다. 하지만 '찬란한 유산'과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로 완성한 시청률 보증수표라는 공식은 깨졌다. 19.9%로 시작해 11.8%로 끝났다. 시청률면에서는 용두사미였다.

 

UP | 주연배우 : "내게 '더 킹'은 연기의 매력을 알게 한 작품이에요. 연기하는데 자신감이 생긴건 이번이 처음이었거든요. 지금까지 연기력 논란을 받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특출나게 잘했던 것도 아니었으니까요. 그런데 이번에는 주위 평도 좋았고 나 스스로도 꽤나 만족스러웠어요."

 

"이번에 안건데 감정 표현을 하는 재미가 쏠쏠하더라고요. 왜 사람이라면 기쁨과 분노 등 여러 감정이 있잖아요. 이재하는 그게 극대화되는 캐릭터였죠. 거침없이 대사하는데 그게 그렇게 속이 시원하더라고요. 자연스럽게 자신감이 붙은 것 같아요. 그러면서 생각했죠. '이제 드라마를 혼자 이끌어도 되겠구나' 라고요."

 

DOWN | 시청률 : "물론 이전 작품에 비해 '더 킹' 시청률은 아쉬웠어요. 최고의 배우와 스태프가 모인건데 말이죠. 점점 시청률이 떨어질 때는 나름 분석도 해봤어요. 생각해봤는데 아무래도 공감대 형성이 안됐던 것 같더라고. 일반적인 소재와 스토리는 아니잖아요. 많은 사람들이 즐기기에는 너무 무겁지 않았나 싶어요."

 

"PPL로 말이 많았던 것도 알고 있어요. '도너츠의 난'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전 나쁘게 보지 않았어요. 주로 무거운 분위기에서 도너츠가 나오는 편이었거든요. 가라앉는 분위기를 전환하는 일종의 위트였던거죠. 또 드라마 제작을 하려면 현실적으로 PPL이 필요하기도 하고요."

 

 

◆ 스타 이승기 | '더 킹'으로 연기자로는 확실히 자리매김했다. 이로써 그는 만능 엔터테이너에 한발 더 가까워졌다. 솔직히 말해 아직은 2% 아쉬운 상태. 예능과 연기에 비해 가수로서는 존재감이 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꾸준히 음반을 발표하고 있지만 반응은 다소 심심했던 것이 사실. 돌파구가 필요해 보였다.

 

UP | 멀티테이너 : "언젠가는 진정한 멀티테이너가 되고 싶어요. 멀티테이너라고 하면 모든 분야에서 특별해야하잖아요. 아직 전 그러기엔 부족하거든요. 그래서 천천히 해보려고요. 지금은 가수, 연기, 예능 이렇게 탑 3개를 쌓고 있어요.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지금 이대로 한다면 서로 비슷한 위치에 올라오지 않을까요?"

 

"가능성을 미리 선긋고 싶지는 않아요. 이번에 이순재 선생님을 보면서 많이 깨달았거든요. 드라마, 연극, 강의까지 하고 계신데 에너지가 넘치세요. NG도 안내고 너무 놀랍더라고요. 나도 과연 저 나이에도 저렇게 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였어요. 그래서 그렇게 해보려고요. 지레 목표를 세우지 않고 할 수 있는대로 다양하게 해보고 싶어요."

 

DOWN | 가수 존재감 : "예능과 연기에 비해 가수로서는 눈에 띄지 않았다는거 알고 있어요. 내게 이유를 묻는다면 요즘 음악을 듣는 패러다임이 바뀐 것 같아요. 듣는 음악보다 보는 음악이 된거죠. 볼거리가 많은 리드미컬한 노래가 인기잖아요. 요즘 가요계에서 아이돌이 강세인 것도 그때문인 것 같고요."

 

"어떻게 해야할지 생각은 하고있어요. 언젠가 이선희 선생님이 말씀하시더라고요. 음악은 다 돌고 도는 거라고요. 지금 내 음악 스타일을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지키라는 말씀이었어요. 그런데 어느 날 '에피톤 프로젝트'가 포털 사이트 검색어 1위를 하는거에요. 듣는 음악을 하는 가수거든요. 거기서 확실히 깨달았죠. 늘 하던대로 듣고 싶은 음악을 하겠다고요."

 

<사진=이호준기자>

 

 

 

 

<관련기사>

 

▷"귀요미는 잊어줘"…꼬마스타, 섹시를 입는 법 '3'

 

▷"상해영화제, 참석하는 걸로"…장동건, 신사의 출국

 

▷"이렇게 예쁜 딸아"…故 정아율, 모친 오열 속 발인

 

▷[스타포착] "유모차와 아들바보"…션, 일상 속 '아빠'

 

▷[포토+]"유이를 따르라"…애프터스쿨, 숨은 출국서열

HOT PHOTOS
NEWS
more news
PHOTOS
[현장포토]
"분위기로 찢었다"...마크, 가을의 남자
2025.10.21
[현장포토]
"예쁜거 알고있지만"...한소희, 웹툰 찢은 유나비
2025.10.21
[현장포토]
"이 구역은 달달해"...마크, 비주얼 랜드마크
2025.10.21
[현장포토]
"여심을 흔든다"…마틴, 강렬한 비주얼
2025.10.21
[현장포토]
"눈빛으로 올킬"…건호, 막내 클래스
2025.10.21
[현장포토]
"어디까지 찢어진거에요?"...한소희, 고혹적 옆트임
2025.10.21
more photos
VIDEOS
00:30
Watch till the end to see why every reporter gasped! That’s Wi Ha-jun🔥#wihajun #위하준 #dispatch
2025.10.21 오후 11:01
02:20
한소희, "바라보면 분위기에 취한다~!" l HAN SOHEE, "Getting drunk on her mood~!" [현장]
2025.10.21 오후 07:01
01:47
마크(엔시티), "부쉐론 포토콜" l MARK(NCT), "Boucheron Photocall" [현장]
2025.10.21 오후 06:40
more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