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ebook Pixed code*/ /* /facebook Pixed code*/
日 유명 아이돌의 죽음이 불러온 베르테르 효과

1998년 5월 2일, 일본 전역에 소녀들의 울음소리가 울려펴졌습니다. '엑스재팬'(X-JAPAN)의 멤버 히데(ヒデ)가 숨을 거뒀기 때문인데요.

히데의 본명은 '마츠모토 히데토'. 엑스재팬의 기타리스트 겸 보컬이었습니다. 그는 안타깝게도, 자신의 아파트에서 목을 매달아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경찰은 자살이라고 밝혔죠.

며칠 후, 도쿄에서 장례식이 치러졌습니다. 5만 명의 인파가 몰렸는데요. 대부분은 10대 소녀들이었습니다. 운구차가 지나가자 "사요나라"를 외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왔습니다. 결국 60여 명이 앰뷸런스에 실려 갔고요.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받은 여핵상도 200여 명에 달했습니다.

그의 죽음이 청소년에게 미친 영향은 가히 충격적이었습니다. 세 명의 소녀가 히데를 따라 목숨을 끊은 건데요. 도쿄에 사는 15세 소녀는 침실에서 목을 매달았고, 히로시마 출시 14세 여학생도 세상을 등졌습니다. 이후 청소년들이 자살 시도를 했다는 뉴스가 쏟아져 나왔습니다.

결국 엑스재팬의 리더였던 요시키는 기자회견을 열고 "제발 히데를 따라 목숨을 끊지 마세요"라고 호소했습니다. 그러면서 "히데를 천국으로 편안하게 보내달라"고 간절히 부탁했습니다.

이처럼 유명인의 자살이 모방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베르테르 효과'(Werther effect)라고 합니다. 베르테르 효과는 TV, 신문, 라디오 등 미디어를 통해 해당 사실이 확산되면서 확대되는데요. 평소 우울증을 앓고 있던 사람들에게는 더욱 큰 영향을 끼친다고 합니다.

특히 젊은 여성의 경우 유명인과 자신을 동일시하거나 유명인의 감정에 몰입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합니다. 또 청소년은 인지적으로 덜 성숙하고 충동적인 성향이 강해 베르테르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결책으로는 '파파게노 효과'(Papageno effect)가 있습니다. 베르테르 효과의 반대말이기도 한데요. 유명인의 자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언론 보도를 삼감으로써 모방 자살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핀란드의 경우 유명인이 자살해도 아무 설명 없이 '사망했다' 혹은 '사망한 채 발견됐다'는 식으로만 보도하고 있습니다.

HOT PHOTOS
NEWS
more news
PHOTOS
[현장포토]
"시선이 멈춘다"…수인, 독보적인 매력
2025.04.29
[현장포토]
"심장이 쿵"…안나, 인형 비주얼
2025.04.29
[현장포토]
"첫사랑 생각나네"…가원, 남심 스틸러
2025.04.29
[현장포토]
"관장님X헬린이"…이준영·정은지, 득근득근 로맨스
2025.04.29
[현장포토]
"장르 불문 대세남"…이준영, 헬치광이 관장
2025.04.29
[현장포토]
"이런 포즈 처음이죠?"…정은지, 미모의 헬린이
2025.04.29
more photos
VIDEOS
07:57
'미야오' 미모에 빠질 준비되셨나요?👂🏻🤚🏻준비되셨으면 HANDS UP! 🙌🏻🙋🏻‍♀️🙋🏻‍♂️ㅣHD Photo Behind (MEOVV)
2025.04.30 오전 10:00
02:05
진(방탄소년단),"석진씨 잘생긴건 말모말모🫢(도착하자마자 아미와 위버스)"l JIN(BTS),"Of course, U R handsome✨I don't need words"[공항]
2025.04.29 오후 09:19
01:40
호시(세븐틴), "오늘도, 언제나처럼 호랑해🐯" l HOSHI(SVT) "Today also, as always HORANGHAE🐯" [공항]
2025.04.29 오후 06:15
more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