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선호 사상이 여성의 가사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0일 연합뉴스는 경북 등 남아선호 사상이 강한 지역 출신 남성과 결혼한 여성들이 집안일을 더 많이 한다고 보도했습니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서울대에서 개최한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에서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등이 발표한 결과입니다.

'부모의 남아선호, 성역할 태도와 가사분담' 논문에 따르면, 남아선호가 강한 지역에서 태어난 남성은 그렇지 않은 지역의 남성에 비해 전통적인 성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이는 가사노동 배분의 차이로 이어집니다.

지역별 남아선호 정도는 1990년대 초·중반의 출생성비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 성감별 기술의 보급으로, 성감별 낙태가 시작됐습니다.

연구 결과, 1991∼1994년 출생성비가 115인 지역에서 태어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은 출생성비가 105인 지역의 남성과 결혼한 여성에 비해 하루에 34분 더 가사노동을 했습니다.

이 기간 정상적인 출생성비는 103∼107. 출생성비가 115라는 것은 여자아이가 100명 태어날 때, 남자아이는 115명 태어나는 것을 뜻합니다.

1990년 출생성비를 기준으로 보면, '출생성비 131'인 경북에서 태어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은 '출생성비 112'의 인천 남성과 결혼한 여성에 비해 하루에 집안일을 65분을 더 했습니다.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 남편이 전통적인 성역할에 가깝게 응답할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은 더 늘어났습니다. 아내의 문화적 배경 및 주관적 성역할 인식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이 교수 등은 "여성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개선하는 것과 동시에 남편의 성역할 태도의 변화가 수반돼야 가구 내 남녀 불평등이 해소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1990년대 중반부터 출생성비가 감소해 2000년대에는 정상성비를 회복했다. 우리나라에서 남아선호는 지속적으로 감소했고, 가구 내 남녀 불평등의 개선은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 예상했습니다.